2020년도 연간 활동

녹색미래
2022-03-31
조회수 393

1. 주요현안 대응 및 연대 활동

1) 주요현안 대응 활동

○ 통합물관리 대응활동
◎ 한강유역네트워크 사무국 운영
- 1/10 한강유역네트워크 운영위원회 진행
- 6/22 한강유역네트워크 운영위원회 진행
- 10/5 한강유역네트워크 운영위원회 진행
    - 11/19 전문가 워크숍 ‘한강의 건전한 물환경 회복 노력’ 진행
 ○ SDG 대응활동
◎ 참여형 플랫폼(MGoS) 참여활동
    - 6/5 ‘2020 HLPF 대응 한국시민사회보고서’ 유엔 제출  
 ○ 그 외 현안 관련 활동
- 4/23 1회용컵 보증금제 도입 촉구 기자회견(국회)
- 4/28 코로나19 대책위원회 대표자회의 및 기자회견
- 6/1 기후위기 및 불평등 해소 촉구 기자회견(국회)
- 7/2 ‘플라스틱 어택’ 기자회견
    - 7/22 ‘플라스틱 어택’ 기자회견

2) 연대 활동

- 1/9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신년하례회
- 2/12 수돗물시민네트워크 정기총회
- 2/18 한국환경회의 정기총회
- 7/15 그린뉴딜 공동대응 선포식(정의당, 녹색당, 미래당, 한국환경회의)
- 9/24 한국환경회의 운영위원회
- 9/25 한국환경회의 그린뉴딜 토론회
- 9/28 생태계보호지역시민모니터링네트워크 토론회
- 10/23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운영위원회
- 10/29 한국환경회의 운영위원회
- 11/2 K-water 한강 물환경협의회 참여
- 11/17 환경부 민관환경정책협의회 물관리분과위 참여

2. 분야별 주요 운동 및 사업

1) 녹색미래 5대 핵심전략 운동과제

○미세먼지 없는 공원 만들기
- 운동명 : 도로변 미세먼지 없는 숲 만들기
- 기간 : 2020년 1월 ~ 12월
- 내용 :
• 도로변·한강변·도심 등 미세먼지가 유입되는 장소에 나무를 식재하여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숲 조성
• 녹색미래에서 조성한 숲을 가시화하여 서울시 녹색미래 공원 지도를 제작
- 결과 :
• 녹색미래 홈페이지 ‘녹색미래의 숲’ 지도 웹페이지 개설
• 5/16~17 해피빈 ‘작은 숲 모아 큰 숲으로!’ 편백나무 25그루 물푸레나무 6그루 이팝나무 6그루 쥐똥나무 600그루 식재
• 7/1~11 습지원 경계수로 편백나무 200그루 식재
• 10/25 배롱나무 30그루, 산딸기나무 10그루, 산사나무 10그루, 이팝나무 10그루, 물푸레나무 20그루 총 80그루 식재
    • 11/21 울타리나무 쥐똥나무 1,000그루 식재
○미세플라스틱 저감 운동
- 운동명 : 생활 속 플라스틱 저감 활동
- 기간 : 2020년 6월 ~ 2021년 4월
- 내용 : 녹색미래의 플라스틱 계산기를 제작하여 개인별 플라스틱 사용량을 가시화하는 캠페인을 통해 플라스틱 사용 인식 변화와 실질적 사용량 변화를 유도
- 결과 :
• 8/19 해피빈 ‘내가 쓰는 플라스틱은 얼마일까? 플라스틱 계산기 캠페인’ 모금함 개설
• 8/19~ 플라스틱 계산기 제작 준비
    • 9/4 해피빈 모금함 H&M 캠페인 배분사업 선정(4백만원∼5백만원)
 ○생물종 보호 운동
- 운동명 : 못생긴 동물 보호운동_박쥐
- 기간 : 2020년 5월 ~ 12월
- 내용 : ‘무섭거나 못생긴’ 동물이 귀여운 동물에 비해 관심을 받지 못하는 등, 동물의 외모가 멸종위기종 보호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. 따라서 못생긴 동물도 제대로 보호받을 인식 전환이 필요
- 진행현황 :
• 가양대교 박쥐 모니터링 3회 진행
• 국립생태원 전문가 박쥐교육 1회 진행
    • 박쥐 37개체 조사 완료
 ○감각공해_청소년 온내 탐구단
- 운동명 : 청소년 시민 과학자_온내영역
- 기간 : 2020년 5월 ~ 12월
- 내용 : 온내 탐구단 운영과 학교 주변 온내 모니터링을 통해 청소년 시민과학자를 양성하여 학회 발표 및 온내 인식 변화 캠페인을 진행
- 진행현황 :
    • 2020년 냄새환경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 제출 및 온라인 포스터 발표
 ○국제협력 활성화 운동
- 운동명 : 국제협력 활성화
- 기간 : 2020년 1월 ~ 12월
- 내용 : 해외 선진 제도·정책 도입 및 국내 우수 제도·정책 등 교류 및 협력, 국내 우수 사회적 경제 및 환경교육 등 전파
- 진행현황 :
    • 12/7~14 키르기스스탄 현지 조사 완료

2) 생태 분야 사업

 ○2020 난지생태습지원 위탁운영
- 기간 : 2020년 1월 ~ 12월
- 추진현황
• 일반 시민 및 단체 대상 생태프로그램 128회 운영, 총 1,771명
• 1분기(1/1~3/31) 프로그램 12종, 1,865명 참여
• 2분기(4/1~6/30) 프로그램 45종, 7,216명 참여
• 3분기(7/1~9/30) 프로그램 미운영, 비대면 생태프로그램<셀프가이드 E-book>제작
    • 4분기(10/1~12/31) 프로그램 15종, 711명 참여
○2020 공원의 친구들 지원사업
- 기간 : 2020년 6월 ~ 12월
- 내용 :
• 도시공원 운영 및 관리의 시민참여 활성화 지원사업
• 매주 토요일 봉사활동 수(인원x시간)를 누적하여 사업비 지원
  - 추진현황 : 매주 토요일 봉사활동 진행
○2020 서울시 야생생물보호구역 시민과학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운영
- 기간 : 2020년 2월 12일 ~ 10월 31일
- 사업구성 :
• 서울시 야생생물보호구역을 중심으로 하여 시민과학자 구성 및 운영하고,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문가 및 환경단체로 지원체계를 구축 및 운영해 바람직한 시민참여 방안을 도출함
- 추진 현황 :
• 양성교육 10회 진행 및 시민과학자 18명 양성
• 지원체계 운영 8회
• 시민과학자 강의 34회
  • 워크북 및 매뉴얼 제작
○2020 서울시 서부지역 생물다양성 우수공원 모니터링 용역
- 기간 : 2020년 6월 25일 ~ 12월 15일
- 사업구성 :
• 공원별 모니터링단 모집, 구성
• 공원별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활동 추진(모니터링단 운영)
• 생물다양성 평가지표에 따른 공원 평가
• 공원별 지속가능한 생태적 관리개선 검토
- 추진 현황 :
• 여의도공원 조류 및 식물 모니터링 4회 진행
1) 식물 총 90과 279분류군 관찰
2) 조류 총 19과 29분류군 관찰
• 푸른수목원 조류 및 식물 모니터링 4회 진행
1) 식물 총 90과 355분류군 관찰
2) 조류 총 19과 30분류군 관찰
  • 각 공원별 생태적 관리방안 검토 및 제안

3) 물 분야 사업

○2020 미래세대 물교육 공동사업_나도 척척 물박사
- 기간 : 2020년 4월 22일 ~ 11월 20일
- 사업구성 :
•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체험 위주의 물교실을 운영하여 수돗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 개선과 수돗물 음용률을 확대하고, 수돗물 관련 시설을 견학하여 수돗물 처리 과정을 직접 교육함
- 추진 현황 :
• 수돗물교육 48회 진행
  • 현장학습 2회 진행
○2020 서울시 수돗물 시민조사
- 기간 : 2020년 1월 ~ 12월
- 내용 :
• 서울시 수돗물 음용 및 정책·제도 시민 의식 조사(대한상하수도학회 용역)
- 추진현황
    • 문래동 주민 100명, 서울시민 300명 조사 완료
○2020 수돗물 챌린지 캠페인 ‘여기 수돗물 아메리카노’
- 기간 : 2020년 8월 ~ 10월
- 내용 :
• 수돗물 음용을 늘리기 위한 일환으로 지역 내 카페를 섭외하여 수돗물 커피를 제공하고 SNS 해시태그를 활용하여 홍보함
- 추진현황
    • ‘여기 수돗물 아메리카노’ 캠페인 2회 진행, 80명 참여

4) 대기 및 에너지 분야 사업

○2020 환경부 미세먼지 대응 민간단체 지원사업_나도 척척 미세먼지 박사
- 기간 : 2020년 3월 1일 ~ 11월 30일
- 사업구성 :
• 미세먼지 취약자(아동, 시니어) 및 일반시민을 위한 미세먼지 정보와 피해 예방법을 홍보함으로써 미세먼지에 대한 적극적 대처방법을 모색함
- 추진 현황 :
  • 초등학교·복지관·돌봄기관 등 미세먼지 교육 126회 진행
○2020 에너지시민연대 공모사업_에너지 시민과학자 양성과정
- 기간 : 2020년 2월 27일 ~ 10월 30일
- 사업구성 :
• 실생활 중심의 에너지교육(전기, 소비, 정책 등)을 통해 1인 지도자를 양성하고, 3각으로 학교와 지역 내(주민, 직장인 등) 사회 에너지 절약 분위기 형성을 유도
- 추진 현황 :
• 에너지 지도자 양성교육 총 6강 진행
• 에너지 지도자 강사 20명 양성
  • 가정 에너지 진단 24회
○2020 에너지시민연대 공모사업_에너지 낭비 없는 착한 문
- 기간 : 2020년 2월 27일 ~ 10월 30일
- 사업구성 :
• 여름철 상가 개문냉방 실태조사를 통해 상가 에너지 사용현황을 파악하고 서울시내 주요상권을 대상으로 에너지 절약 거리 캠페인을 진행하여 에너지 소비에 대한 인식을 개선
- 추진 현황 :
• 일반시민 코로나19 속 에너지 사용 의식조사 452명
  • 온라인 에너지 절약 캠페인 3회

5) 자원순환 분야 사업

○2020 1회용 배달용품 줄이기 캠페인
- 기간 : 2020년 6월 ~ 11월 31일
- 사업구성 :
• 유통되고 있는 일회용 배달용품(용기, 수저, 쿠폰 등)의 형태 및 재질 현황을 조사하여 배달용기 규격화 및 단일화 제도 마련의 기초자료 확보
• 지속적 일회용 배달용품 줄이기 캠페인을 통한 시민들의 배달문화 인식 변화
- 추진 현황 :
• 1회용 배달용품 거절 캠페인 5회 진행, 100명 서약
• 1회용 배달용품 온라인 실태조사 60회 진행
  • 1회용 배달용품 사용 시민 의식조사 10회 진행, 457명 참여
○2020 민간자원순환활동 촉진사업_Happy Green Day
- 기간 : 2020년 4월 ~ 10월 31일
- 사업구성 :
• 기업에 환경적 가치에 중점을 둔 자원순환 활동을 적극 제시하여 기업 내 자연친화적 공익활동을 유도와 자발적 자원선순환 활동 참여 활성화
- 추진 현황 :
• 기업 자원순환 간담회 2회 진행
• Happy Green Day 캠페인 15회 진행
  • Refresh Day 캠페인 1회 진행
○숲과나눔 긴급 지원사업 ‘코로나19 사태로 급증한 1회용품 저감 정책 및 대안 마련’
- 기간 : 2020년 7월 ~ 10월
- 내용 :
•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급증한 일회용품의 사용을 억제하기 위해 자원순환 정책 포럼을 개최하여 대안을 마련하고, 해외의 1회용품 규제 사례를 조사하여 국내 사례와 비교분석함
- 추진현황
• 숲과나눔 제2회 환경학술포럼 ‘코로나19 사태로 급증한 일회용품의 저감 정책 조사 및 대안제시’ 연구 초록 제출
     • 코로나19 사태 이후 자원순환 정책 토론회 1회 진행
○도화동 나눔장터 및 캠페인
- 기간 : 2020년 6월 ~ 11월
- 내용 :
• 도화동 중심으로 나눔장터 및 캠페인 진행
- 추진현황
  • 일회용품 사용저감 및 교환캠페인 5회 진행

3. 홍보 및 정보화사업, 온라인 모금

1) 홍보 및 정보화사업

 ○녹색미래 서포터즈 활동 ‘프렌즈’
- 기간 : 2020년 6월 ~ 12월
- 내용 :
• 녹색미래의 청년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서포터즈를 모집하여 환경 현안 토론 및 의제를 도출 활동 진행
- 추진현황
• 온라인 모임 7회 진행
• 환경독서 토론회 4회 진행
    • 환경영화제 온라인 상영회 관람
○온라인 홍보 강화사업
- 홈페이지 (https://www.greenfuture.or.kr)
- 페이스북 (https://www.facebook.com/greenfuture.kor)
- 블로그 (https://blog.naver.com/green2834)
- 카페(난지수변생태학습센터) (https://cafe.naver.com/nanjiwetland)
- 1% for the planet (https://www.onepercentfortheplanet.org)

2) 온라인 모금

○ 네이버 해피빈 ‘도전! 우리 동네 미세먼지 전문가’
- 기간 : 2020. 1. 16. ~ 4. 15. 
○ 네이버 해피빈 ‘못생겨도 괜찮아, 박쥐와 공존해요’
- 기간 : 2020. 1. 17. ~ 4. 16. 
○ 네이버 해피빈 ‘못된 녀석들로부터 우리 토박이식물을 함께 지켜요’
- 기간 : 2020. 1. 29. ~ 4. 1. 
○ 네이버 해피빈 ‘작지만 강한 푸른 숲 함께 만들고 키워나가요’
- 기간 : 2020. 2. 25. ~ 5. 8. 
○ 네이버 해피빈 ‘람사르습지 밤섬을 위해 함께 이야기해요’
- 기간 : 2020. 3. 20. ~ 5. 20. 
○ 네이버 해피빈 ‘깨끗한 상수원과 하류지역을 위해!’
- 기간 : 2020. 4. 14. ~ 6. 21. 
○ 네이버 해피빈 ‘생활 속 악취, 더 이상은 싫어요’
- 기간 : 2020. 4. 20. ~ 7. 19. 
○ 네이버 해피빈 ‘한순간 한번의 참여는 우리 모두에게 힘이 됩니다!’
- 기간 : 2020. 4. 29. ~ 6. 30. 
○ 네이버 해피빈 ‘함께 만들어가야할 기후변화대응 생활문화’
- 기간 : 2020. 5. 20. ~ 8. 17. 
○ 네이버 해피빈 ‘녹조라떼는 이제 그만!’
- 기간 : 2020. 6. 17. ~ 8. 14. 
○ 네이버 해피빈 ‘여름철 에너지 빈곤층을 시원하게’
- 기간 : 2020. 6. 21. ~ 7. 31. 
○ 네이버 해피빈 ‘양서류들이 로드킬 당하지 않게 도와주세요’
- 기간 : 2020. 5. 26. ~ 8. 24. 
○ 네이버 해피빈 ‘시민과 함께 성장해나가는 숲을 만들어요.’
- 기간 : 2020. 5. 30. ~ 8. 28.
○ 네이버 해피빈 ‘지금 괜찮니? 강아.’
- 기간 : 2020. 7. 1. ~ 9. 29. 
○ 네이버 해피빈 ‘물이라도 마음 편히 쓰자!!’
- 기간 : 2020. 7. 22. ~ 10. 20.
○ 네이버 해피빈 ‘한강의 물은 어디서 오고 있나요?’
- 기간 : 2020. 7. 30. ~ 9. 30. 
○ 네이버 해피빈 ‘내가 쓰고 있는 플라스틱은 얼마일까? 플라스틱 계산기’
- 기간 : 2020. 8. 19. ~ 10. 19. 
○ 네이버 해피빈 ‘작년에는 이렇지 않았는데, 기후변화 더는 안 됩니다.’
- 기간 : 2020. 9. 24. ~ 12. 16. 
○ 네이버 해피빈 ‘봄철마다 반복되는 킬링로드’
- 기간 : 2020. 10. 8. ~ 2021. 1. 6. 
○ 네이버 해피빈 ‘우리도 숲부자가 되어보자.’
- 기간 : 2020. 10. 15. ~ 2021. 1. 13. 
○ 네이버 해피빈 ‘홍수 피해 입은 한강공원, 쓰레기 정화가 절실해요’
- 기간 : 2020. 10. 28. ~ 11. 30. 
○ 모바일 모금 ‘불꽃’ 승인 완료
‘터전에서 밀려난 토박이 식물을 지켜주세요.’ (500,000원 모금완료)